부처 시대의 인도사회와 사상

하라파-모헨조다로

하라파-모헨조다로 문명은 기원전 3000~2000년 사이에 인더스 강 유역을 중심으로 번성했습니다. 이 문명은 메소포타미아(현재 이라크) 지역의 바빌로니아 이전 수메르인들과 무역 관계를 맺었지만 그들로부터의 문화적 영향은 미미했습니다. 이곳의 사람들은 최초의 드라비디아인으로 보이는데 그들의 종교에는 출산, 창조, 초자연적 힘에 기초한 금욕의 요기를 대표하는 최고의 신이 있었으며 가축의 신이기도 한 후대의 힌두교 시바(Shiva)신의 원형과 어느 정도 유사합니다. 종교적 신념 체계에는 모신, 의례적인 목욕재개, 남근 숭배, 신성한 나무, 소와 같은 신성한 동물을 숭배하는 것이 포함되었습니다. 피팔라(peepal)는 불교에서 보리수(菩提樹)로 알려진 무화과 나무의 한 종류입니다.  

기원전 2000년 후반부터 인도-이란족이 인더스 계곡 지대를 침략해 정복했습니다. 그들은 그곳에 정착하여 동쪽의 북인도 일대로 확장해 나갔습니다. 이 부족들은 아프가니스탄, 이란 동부, 서투르키스탄 남부에서 왔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들은 ‘아리아인’, ‘고귀한 사람’으로 불립니다. 실제로 ‘이란’과 ‘아리아인’의 단어는 같은 근원에서 파생되었습니다. 인도와 이란의 초기 문화는 언어와 종교에서 몇 가지 공통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아리안족의 침략으로 인해 피부색이 짙은 하라파-모헨조다로 원주민들은 노예로 전략했고 일부는 인도 남부로 떠났습니다. 아리아인의 계급은 귀족과 부족원으로 나뉘었고, 인도의 카스트 제도를 형성했습니다. 카스트를 뜻하는 산스크리트어 ‘바르나(varna)’는 또한 색을 의미합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