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전, 칠지작법, 만다라 공양과 발원

네 번째 수행: 영적 성장을 위해 복전을 관상하다

예비 수행의 네 번째는 영적 성장(tshogs-zhing, 산스크리트어: Punyakshetra)을 위해 복전(福田)을 관상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흔히 복전이라고 불리지만 씨앗을 계속 심으면 우리의 공덕 자량을 쌓을 수 있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또한 심은 후에 수확이 매우 큰 밭입니다. 다시 한번, 이것은 아주 복잡한 관상이거나 아니면 앞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근본 스승이 옥좌위의 부처의 형태로 앉아있는 단순한 형태일 수도 있습니다. 

저는 여기에서 많은 세부 사항들을 다루지 않고 간단히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부처의 오른손은 땅을 향해 가리키는 촉지인(觸地印)을 하였는데, 이는 부처가 죽음의 왕 마라(Mara)를 물리쳤다는 증거로 지신(땅을 관장하는 신)을 불러낸 수인(手印)입니다. 여기서 마라는 천자마(天子魔)입니다. 우리가 마라를 이야기 할 때 그것은 악마라고 불릴 수 있지만 사실 강력한 간섭을 의미합니다. ‘Mara’라는 단어는 사실 ‘죽음’을 의미하는 산스크리트어 ’mrta’에서 유래했습니다.

한편으로, 부처님이 보리수 밑에 앉아서 깨달음을 이루실 때 여러 가지 방해의 형태로 나타나는 마라가 있다는 것은 아주 좋은 예입니다. 어떤 사람은 부처님이 깨달음을 얻을 준비가 되었을 때 엄청난 공덕을 쌓아서 마라의 영향이 - 춤추는 여인의 모습을 한 악마 등 – 큰 간섭이나 방해가 되지 않았을 것이라고 생각할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우리가 하려고 하는 일의 긍정적인 면이 클수록 더 큰 방해를 받는 경우가 많으며 진정한 보살만이 이를 극복할 수 있습니다. 만약 우리가 긍정적인 일을 위해 노력을 하는데 이런 방해가 생겨난다면 이것은 특별한 일이 아닙니다. 보리수 아래 부처님의 예나 달라이 라마 성하께서 중국 지도자들의 태도와 그에 수반되는 어려움들을 어떻게 극복하셨는지를 생각해 보십시오. 그러니 “아, 불쌍한 나는 모든 어려움을 가지고 있어.”라고 자신을 절대 불쌍히 여기지 마시길 바랍니다. 달라이 라마 성하께서 중국 정부를 다루시는 것에 비하면 우리의 문제는 아주 사소한 것입니다. 

그리고 부처님은 왼손으로 세 개의 감로가 들어있는 탁발을 무릎에 들고 계십니다. 여기서 ‘감로(甘露)’라는 단어는 무엇을 의미할까요? 이것은 문자 그대로의 뜻이 아닙니다. 세르콩 린포체는 인도식 소의 비유처럼 모든 단어의 글자 하나하나의 의미를 짜내면 훌륭한 것을 얻을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amrita(감로)’는 산스크리트어입니다. ‘죽음’을 의미하는 ‘mrita’는 ‘mara’로 발전했습니다. 이에 접두사 ‘a’를 붙이면 악마에 대항하는 감로가 됩니다. 그리고 티베트인들은 그것을 두개의 음절을 가진 단어로 번역하는데, 하나의 음절이 바로 단어 마라(bdud)입니다. 

감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 약 – 온마(蘊魔, 여러가지 고통, 질병을 일으키는 오온) 극복  
  • 장수 감로 – 사마(死魔, 중생의 목숨을 빼앗아 가는 죽음) 극복
  • 지혜의 감로 – 번뇌마(煩惱魔, 탐/진/치의 마음을 어지럽히는 감정) 극복

따라서 모든 것이 나타내는 것을 더 깊이 탐구할 수록 도제의 모든 측면을 더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