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Study Buddhism Home
Arrow down
Arrow up
핵심
Arrow down
Arrow up
보편적 가치
… 무엇인가?
… 어떻게?
명상
Arrow down
Arrow up
티베트 불교
Arrow down
Arrow up
불교에 대해서
깨달음으로 가는 길
마음 수련
탄트라
저서들
정신적 스승들
Arrow down
Arrow up
고급 연구
Arrow down
Arrow up
깨달음으로 가는 길(람림)
불교의 과학
구사론과 사상 체계
기도와 의식
역사와 문화
Arrow down
Arrow up
소개
최신 콘텐츠
Arrow down
Arrow up
후원하기
العربية
বাংলা
བོད་ཡིག་
Deutsch
English
Español
فارسی
Français
ગુજરાતી
עִבְרִית
हिन्दी
Indonesia
Italiano
日本語
ខ្មែរ
ಕನ್ನಡ
한국어
ລາວ
Монгол
मराठी
မြန်မာဘာသာ
नेपाली
ਪੰਜਾਬੀ
پنجابی
Polski
Português
Русский
සිංහල
தமிழ்
తెలుగు
ไทย
Türkçe
Українська
اُردو
Tiếng Việt
简体中文
繁體中文
Arrow down
비디오
계정
Enter search term
Search
Search icon
보리심
10 기사
보리심을 발생시키고 그에 집중하는 것
이번 주말에 우리는 보살계를 주제로 이야기할 것입니다. 그리고 당연히 보살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보살이 무엇인지, 그리고 그것의 기초가 되는 보리심이 무엇인지를 이해해야 합니다. 이와 관련하여, 우리는 보살계를 수지하고 보리심을 개발하며 그것을 유지하는 것이 깨달음을 성취하기 위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주는 수많은 인용구와 근거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보리심이란 무엇일까요? 보리심은 여러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 하나의 심의 상태입니다. 우리가 보리심을 발생시킬 때 그것은 두 단계로...
Part
in
보리심을 위한 수행과 서원에 대한 설명
보리심이 퇴전하거나 상실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수행들
우리는 지금 보리심과 보살이 된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보리심을 개발해 가는 일반적인 과정 속에서 보살계를 수지하는 것이 어떤 자리에 놓이는지, 또 보리심을 개발하는 단계들 속에서 그것이 어떤 단계에 속하는지를 살펴보았습니다. 여기서 정말 중요한 것은 이 보살계의 역할과 그것을 언제 수지해야 하는가를 이해하는 것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아직 보리심의 초기 단계조차 충분히 개발하지 못한 상태에서 다소 이른 시기에 보살계를 수지하는 경우가...
Part
in
보리심을 위한 수행과 서원에 대한 설명
보리심을 일으켜 수행에 옮기다
사랑 사랑이란 모든 사람이 행복하기를 바라는 마음의 상태입니다. 모두가 행복하기를 원하지만 대부분은 행복해지는 방법을 진정으로 알지 못하기 때문에 자신을 복잡한 상황, 통제되지 않는 순환, 많은 문제들로 가득하여 자신이 원하는 행복을 얻지 못합니다. 따라서 타인이 행복하기를 바라는 마음의 상태를 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런 식으로 생각하는 법을 배우면서, 먼저 자기 자신, 그 다음에는 어머니, 그리고 아버지의 행복을 기원합니다. 계속 수행을 해가며 우리의 친구, 적,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Part
in
보리심 개발의 지침 및 조언
귀의심(안전한 방향)과 보리심을 재확인하다
소개 여섯 가지 예비 수행의 세 번째 부분에서 경전은 먼저 예불을 올린 다음 앉아 호흡에 집중하여 마음을 가라앉히고 귀의심(안전한 방향)과 보리심을 재확인하라고 말합니다. 하지만 제 경험에 비춰봤을 때, 저는 사람들이 가르침을 듣거나 명상을 하기 전에 아무 것도 하지 않은 채로 절을 하고 앉으면 그 과정이 약간 기계화된다고 느꼈습니다. 또한 경전은 자리에 앉은 후 호흡에 집중하고 귀의심과 보리심을 다시 확인하라고 말합니다. 저는 이것이 예불을 하기 전에 자신의 동기를 재확인하라는 의미라고...
Part
in
명상 전 여섯 가지 예비 수행
보살계 제11-18계 해설 및 위반의 의미
(11) 공의 가르침을 준비되지 않은 이에게 설하는 것 우리는 보살계를 살펴보고 있는데, 열 여덟 서원 중 열 번째까지 다뤘고 이제 열한 번째로 넘어갑니다. 이 서원에서 피하려는 것은 마음이 아직 닦이지 않은 사람에게 깊은 차원의 공의 가르침을 설하는 것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것은 보리심의 동기가 있지만, 이 가르침을 이해할 준비가 되지 않은 사람에게 설하는 것을 뜻합니다. 그런 이들은 혼란과 두려움을 느껴 보살행을 포기하고 단지 개인적 해탈만 추구하게 될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은 꽤...
Part
in
보리심을 위한 수행과 서원에 대한 설명
보리심을 위한 수행과 서원에 대한 설명
보리심의 발달은 여러 단계를 거쳐 나아가며, 이는 현생과 미래생에서 보리심이 약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섯 가지 수행의 형태로 이어집니다.
in
서약
타인과의 평등화와 교환
깨달음에 이르고 남을 이롭게 하기 위해서는 자신만을 소중하게 여기지 않고, 모두들 평등하게 여기며 진심으로 다른 사람들을 소중히 여기는 것을 최우선 해야 합니다.
in
사랑과 자비
보리심 개발의 지침 및 조언
자신과 타인에 대한 태도를 사랑과 자비심으로 평등하게 교환하여 보리심을 개발하는 수행과 방법에 관한 텐자브 세르콩 린포체의 설명을 읽어보십시오.
in
보리심
보리심 생성을 위한 일곱 가지 인과 명상
생명의 평등성에 대한 인식에서 시작해 모성애를 인식하고 사랑, 자비심, 목적으로서의 보리심을 길러 모든 중생을 가장 이롭게 하는 부처가 됩니다.
in
사랑과 자비
서원보리심에 따른 수행행
서원보리심을 발한 수행자는 그 발심을 결코 잃지 않도록 돕는 다섯 가지 수행을 실천하겠다는 서원을 세웁니다.
in
서약
Top